역사

오스만 제국

시히어로 2023. 10. 6. 06:38
반응형

오스만 제국은 아시아지역을 중심으로 유럽과 중동지역 그리고 아프리카 지역까지 영토를 넓히고 1299년 부터 1923년 까지 여러 민족과 국가를 다스린 제국이다. 이러한 국가가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왜 패망하였는지 그  원인을 정리해 보았다.
일반적으로 조선인 대한민국이나 중국처럼 근대화를 실패한 '국가'라고 인식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자세히보면 이는 완전히 잘못된 생각이다.

오스만 제국은 유럽과 동시대, 동공간을 살았던 국가로, 언제나 유럽에 노출되어 있었고, 대부분의 유럽 국가들보다 넓은 영토, 막강한 군대 그리고 월등히 높은 경제를 자랑하던 국가였습니다. 당시 유럽인들을 공포로 몰아넣었던 대제국이었으며, 유럽인들은 오스만 제국의 막강함을 바라보며 '신의 징벌'이라고 말하기까지 했습니다. 그런데 오스만 제국은 19세기 중반부터 급속도로 몰락했고, 20세기초 너무 허무하게 멸망했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오스만 제국은 유럽인들보다 먼저 화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한 게 오스만 제국입니다. 
그 덕분에 콘스탄티노플을 점령할 수 있었습니다.
그럼 무엇이 문제였을까요?
우리가 일본 치하에서 36년이라는 치욕적인 국가적 민족적으로 말살되었던 것처럼, 정답은 "정치"가 혼란스러웠으며, 그 중에서도 약한 통치력과 민족주의 적인 쇄국정치와 이에 반대하는 보수파의 저항 등을 꼽을 수 있습니다.

1. 약한 중앙정부의 통치력

오스만 제국은 지난 거대한 제국들이 대부분 그러하듯이, 일사불란한 중앙집권 통치국가가 아니라 조직력인 약한 연합체였습니다. 대부분의 지방관들은 왕과 같은 권한을 행사했고, 이스탄불에 거주하는 술탄(황제)는 지방에 자기 의지를 백퍼센트 관철시킬 수 없었습니다. 심지어 세금도 중앙정부가 걷는 게 아니었고, 조세징수업자를 통해 대행했으며, 지방은 나름대로 행동했습니다. 

조세제도, 관료제도, 사법체계, 군사제도 등을 개혁하려면 강력한 중앙정부가 필요한데, 오스만 제국은 바로 그 강력한 중앙정부라는 통치력이 없었던 국가였습니다. 사실 오스만 제국 자체가 태생적으로 한계가 있던 부분이었습니다. 오스만 제국은 물론 대부분의 전쟁에서 승리해서 정복을 성공시켰지만, 그 이면에는 현지인들에게 대한 폭넓은 재량 및 자치권이 전제되었습니다. 오스만 제국의 빠른 팽창의 비결은 바로 이러한 토착 세력에 대한 "관대함"이었다.
19세기 강력한 중앙정부가 다스리는 근대국가의 시대에는 이러한 관대함이 오히려 약점이 되었습니다. 

오스만 제국은 18-19세기 동안 여러 지방국가들을 프랑스로부터 고문을 초빙하여, 수차례 개혁을 하고자 했고, 제국을 다시 혁신하려고 했으나, 중앙정부가 지배할 수 있는 힘의 한계, 즉 통치력의 부족으로 대부분 실패했습니다. 그렇지 않아도 어려운 개혁을 더욱 어렵게 했던 것이 기득권 세력들인 기존의 정치세력들의 강력한 저항 때문이었습니다.

2. 민족주의

먼저 오스만 제국의 가장 취약한 점은 다민족국가였다는 것입니다. 제국의 조세수입과 인구의 절반이 유럽지역에 유입되었고, 지금의 발칸반도가 오스만 제국 경제의 노른자였고, 이 지역에는 그리스인, 알바니아인, 세르비아인, 루마니아인, 불가리아인들이 살았습니다.

19세기에 들어서면서 유럽 전역에 민족주의 사상이 대두하기 시작하면서, 그 전에 말썽을 부리지 않던 발칸 지역이 민족주의 사상에 휩싸이게 되었고, 러시아, 오스트리아 등 외세는 이를 적극적으로 이용하게 됩니다. 그리고 수차례의 전쟁을 통해 오스만 제국은 작은 전쟁에서 패배하게 되고 결국 제국의 노른자를 크림반도를 내주게 됩니다. 가장 부유한 지역을 상실하게 되었는데, 제국이 약화되지 원인이 바로 민족주의였습니다. 

3. 변화에 대한 보수파의 저항

오스만 제국이 처음 팽창할 때 지대한 공헌을 한 게 바로 예니체리라 불리는 정예부대 였습니다. 기독교 가정으로부터 아이를 징발해서 제국의 전사로 양성하는 것을 시초입니다. 이들은 후일 강력한 엘리트 집단이 되었고, 나중에는 극도로 부패한 집단이 되었으며, 이를  지속적으로 누리기 위해서 마지막에는 재정만 축내는 부담스러운 짐이 되었습니다. 이들은 결국 개혁에 반대했습니다. 특히 서방식 "국민개병제"에 철저히 반대했습니다. 

자기들의 특권이 사라질까봐 그런 것인데, 전통적 무사집단으로서의 특권을 잃어버릴까봐 그랬던 것이죠. 오스만 제국은 오히려 신식군대를 양성하려던 술탄이 보수파에 의해 처형된 것이 패망의 원인이 된 것입니다.

결국 이슬람 수구 보수파는 황제의 개혁을 못마땅하게 생각했고, 개혁적인 세력을 없애러고 부단히 노력했습니다. 술탄은 이들에 대해 수세적인 입장일 수밖에 없었으며 술탄은 스스로 이슬람 세계의 수호자를 자처했기 때문입니다. 

이를 극복하려면 정말 아주 강력한 중앙정부와 아주 강력하게 여려 국가들의 지지 그리고 아주 권력자 자신이 아주 강력한 의지를 갖추어야 하는데, 오스만 제국의 이 세가지를 모두 상실하고 있었습니다. 오스만 제국은 정말 아주 강력하고 근대적인 세계열강으로 성장할 수  있었지만, 정치의 문제로 몰락하고 말았습니다.

결국 근대화라는 건 과학기술이나 정보의 유무가 중요한 게 아니라 '정치'가 중요했던 것이다. 

반응형